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유산소 심박수 계산하는 방법 확인하고 효율적으로 운동해요^^

 

 

유산소 심박수 계산하는 방법 확인하고 효율적으로 운동해요^^

 

 

 

 

 

새해가 시작되면서 운동 계획을 세우신 분들이 많죠?
특히 매일 꾸준히 할 수 있는 운동 중에 하나가 유산소 운동인 것 같습니다.
웨이트 운동은 기구도 다뤄야 하고 어렵게 느껴지는데 
유산소운동은 걷거나 달리기, 자전거 타기, 수영, 에어로빅, 댄스  등 
일상생활에서도 가볍게 접할 수 있는 운동이라서 부담이 없는데요.
더욱 효과적으로 안전하게 운동하기 위해서는 유산소 심박수 계산을 해보셔야 합니다.

 

 

 

 

유산소 운동은 체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는 건강한 운동법이에요^^
산소를 이용하여 체내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운동인데요.
지속적인 시간동안 에너지를 소모하면서 심장과 폐를 자극하여
심폐 능력을 향상시켜 줍니다.

 

 

 

 

 

꾸준히 유산소운동을 하신다면 심혈관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고요.
체중 감소, 근지구력 향상, 스트레스 해소 및 대사 증진에 도움을 줍니다!
유산소 운동을 통해 누구나 부담 없이 체중 조절 및 건강관리를 할 수 있지만
너무 강도가 낮으면 큰 효과를 얻기가 어렵고, 
강도가 너무 높아도 건강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내 현재 체력에 맞는 운동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유산소 심박수 계산을 해주셔야 해요! 

 

 

 

 

유산소운동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바로 심박수입니다.
심박수란 1분동안 심장이 뛰는 횟수인데요. 
유산소 심박수 계산하는 방법은 
최대 심박수를 기준으로 목표 심박수를 설정해 주시는 거예요.

 

 

 

 

그럼 최대 심박수를 먼저 파악해야겠죠?
최대 심박수는 개인의 나이에 따라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 220에서
나이를 빼는 방법으로 계산하게 됩니다.
최대 심박수 = 220-나이
예를 들어, 30세인 사람의 최대 심박수는 220-30=190입니다.

 

 

 

 

그런 다음, 목표 심박수를 계산해 주셔야 합니다.
유산소 운동을 하면서 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목표 심박수를 계산해 주셔야 합니다.
목표 심박수는 대게 최대 심박수의 50-85% 범위를 유지하는 것이 좋아요.

 

 

 

 

초보자의 경우 저강도 운동 : 최대 심박수의 50-60%
중급자의 경우 중간 강도 운동 : 최대 심박수의 60-70%
고급자의 경우 고강도 운동 : 최대 심박수의 70-85%

 

 

 

 

예를 들어서 30세인 사람의 최대 심박수가 190이며
이 사람의 목표 심박수는 저강도일 경우 190*0.5 = 95 (최소 심박수)
고강도일 경우 190*0.85=161.5 (최대 심박수)가 됩니다.
95-162 사이의 심박수를 유지하면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운동할 수 있겠죠?

 

 

 

 

심박수는 손목이나 목에 있는 맥박을 측정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심박수 측정기나 스마트워치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나이에 맞는 최대 심박수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목표 심박수 범위에서 운동을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인 유산소 운동을 위한 핵심이니 참고하여 운동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