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카카오바이크 타는법 요금 면허 필요할까?

 

카카오바이크 타는법 요금 면허 필요할까?

 

 

 

 

카카오에서 다양한 교통수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저는 주로 카카오T앱을 통해서 편리하게 택시를 이용하는 편인데요~

이 외에도 바이크, 주차, 대리운전, 퀵, 렌터카, 항공, 기차 등이 있더라고요.

오늘은 그중에서도 전기자전거에 해당되는

카카오바이크 타는법 및 요금, 면허 여부까지 확인해볼게요^^

 

 

 

 

카카오T앱만 있따면 카카오바이크 타는법 어렵지 않습니다.

어플 메인 화면으로 들어오시면 가운데 바이크라고 적힌 글씨가 보일거에요~

클릭해주시면 되는데, 여기서 중요한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카카오바이크 면허 필요한지 궁금하셨죠?

아니요, 카카오바이크 면허 없이 탑승이 가능합니다. 

페달을 밟아서 이용하는 PAS형 전기 자전거이기 때문에 운전 면허가 필요하지 않아요.

 

 

 

 

만약 카카오T에서 운영하는 퀵보드를 타려면

운전면허증 및 헬멧이 반드시 있어야 하며, 등록이 필수입니다. 

미리 운전면허증을 등록해 주셔야 퀵보드 대여가 가능해요~

 

 

 

 

카카오T 어플을 통해서 들어오셨다면, QR찍고 바로 탑승하시면 되니 

카카오바이크 타는법 생각보다 간단하죠?

탑승 전 도착지 주변 이용을 종료할 수 있는 지역을 먼저 찾으시고, 

카카오바이크 요금까지 확인하면 간단하게 탑승이 가능합니다.

 

 

 

 

그럼 카카오바이크 요금은 얼마일까요?

기기마다 요금이 조금씩 다를 수 있다고 해요.

최초 대여할 땐 기본 15분 제공 기준으로 1,500원이며 

이후에는 1분마다 100원씩 추가요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가끔 사용하시는 분들께는 크게 부담되지 않는 비용이지만, 

카카오 전기자전거를 자주 사용하신다면 

가성비 좋은 카카오바이크 패스 이용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패스권은 30일 4회 패스 / 30일 30회 패스 두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카카오바이크 요금 패스 4회권은 5,900원이며 한달에 4회만 사용 가능, 

30회권은 38,900원이며 30회까지 사용이 가능한 점 참고해 주세요^^

 

 

 

 

카카오바이크 타는법은 어플 내에도 상세하게 안내되어 있습니다.

이용방법을 눌러주신 후 확인해 보세요! 

 

 

 

 

기기핀을 눌러 서비스 지역과 요금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기기마다 요금이 다를 수 있다는 점 참고하시고요~

내 주변에 있는 자전거 및 킥보드 탐색을 누르시면

대여할 수 있는 기기정보가 쭉 뜹니다.

여기서 내가 탈 전기자전거 뒷편에 있는 QR코드를

스캔하면 스마트락이 해제되며 탑승이 가능합니다.

 

 

 

 

이용할 때는 브레이크나 안장, 체인 상태를 자세히 확인해 주세요^^

이후 페달을 돌려 자전거처럼 출발하시면 됩니다.

주차방법 및 보험안내까지 상세하게 적혀있으니 탑승 전 참고하시고요~

이용을 마칠 땐 어플에서 이용종료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허용된 구역에만 주차할 수 있으며

주차한 위치를 촬영하여 어플에 기록해주시면 끝이에요!

대중교통이나 보행자를 방해할 수 있는 위치에 반납하실 경우

견인비가 청구될 수 있다고 하니 주의하세요~

 

 

 

 

오늘은 카카오바이크 면허, 요금, 타는법까지 확인해 보았습니다.

서울 지역에서는 많이 발견하지 못했는데

교통이 불편한 신도시 위주로 많이 준비되어 있더라고요~

걷기에는 너무 먼 거리고, 대중교통 기다리긴 애매할 때 더욱 유용하게 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기권도 생각보다 저렴하니 다양하게 활용해 보세요!